top of page
기업미술품 추천

신상우
Shin SangWoo

신상우 작가의 작품은 전통적 아카데믹 비례와 조형성으로부터 탈피하여, 심연의 흔적, 무의식의 잠재성,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탐구합니다. 구상과 추상을 넘나들며 형태와 감각이 충돌하는 화면 속에서, 감성·이성 간의 교감을 시각적 은유로 그려냅니다.

특히 비정형적 조화, 과장된 얼굴 형상, 식별이 힘든 필체 등은 내면의 억압된 감정들이 표면에 스미는 듯한 표현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학력: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판화과 학·석사(B.F.A / M.F.A)

미국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New Paltz, Fine Arts Printmaking (M.F.A)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미술학 박사과정 졸업 (Ph.D) 

직업/소속:

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초빙교수

한국판화연구회 회장, 대한민국미술협회 및 서울미술협회(분과위원장),

한국현대판화가협회 회원 등 역임 

 

개인전:

국내외 총 39회 발표

2025년 제39회 초대 개인전 (서울, United Gallery)

2024년 제38회 초대 개인전 (서울, 서진아트스페이스)

2023년 제37회 초대 개인전 (서울, United Gallery)

단체전:

국내외 총 400회 이상 출품

2025년 한국장서표협회 (서울, 나무아트 갤러리)

2024년 충북대학교 미술과 50주년 기념전(청주, 충북대학교 미술관)

2022~2023년 한국·대만 국제 교류전, 현대판화가협회전, 목판화 페스티벌 등 

수상 경력:

총 17회

2006년 대한민국 미술대전 비구상 부문 ‘문화관광부장관상’ 수상

2005년 대한민국 미술대전 구상부문 '특선'

2005년 무등 미술대전 우수상 등 다양한 수상 기록

2003년 Hunter Show Exhibition(U.S.A, New York, Manhattan)

 

심사·평가 활동:

2020년 제12회 갤러리 Tom’s 신진작가공모(순수회화부문) 심사위원

2018년 제10회 갤러리 Tom’s 신진작가공모(순수회화부문)심사위원

2011년 대한민국미술대전 구상(판화)부문 2차 심사위원 

 

작품 소장처:

서울시립미술관, 외교통상부,

경남도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미술은행)

 

일본 사카마미술관, 러시아 오리엔탈미술관(모스크바),

진천군립판화미술관 등 

Style

구상과 추상의 경계

인물 형상, 얼굴 등 구상적 요소를 바탕으로 하지만, 형태를 해체·변형하여 추상화된 화면을 구축.

명확한 윤곽보다 흐릿한 경계선, 중첩된 레이어, 의도적 비례 왜곡을 통해 현실과 상상의 혼재를 시도

심연의 흔적과 무의식의 발현

작품 속 형상들은 내면 심리, 억압된 감정, 존재의 욕망 등을 시각화한 것.

 관념적이고 철학적인 주제를 회화적 흔적(Trace)과 비정형적 패턴으로 표현.

 상징적 기호와 추상적 텍스처가 화면 곳곳에 흩어져 있어, 관람자 해석의 여지를 남김

과장된 얼굴 형상과 왜곡된 비례

인체와 얼굴의 과장된 형상, 비례 왜곡을 통해 현실감각을 탈피.

 인간 내면의 불안, 고독, 갈등을 형상화함으로써 존재론적 메시지를 담음.

 때로는 얼굴이 화면 전체를 채우며 강렬한 시선과 압도감을 줌

비정형적 조화와 필체(筆跡)의 중첩

화면 위에 붓질의 흔적(필획)이 층층이 쌓이며 리듬감을 형성.

 직관적이고 자유로운 붓질, 의도적 얼룩, 문양적 반복을 통해 질감과 깊이감을 부여.

 글씨인지 그림인지 모를 필체 같은 선이 화면을 가득 메워 추상적 해석을 유도.

색채와 마티에르(Material)

중후하고 깊은 톤(블루, 블랙, 어스톤)을 주로 사용하나, 때로는 강렬한 레드, 옐로우로 화면을 뒤덮음.

 재료의 질감을 살리는 마티에르 기법이 돋보이며, 물성을 강조한 두텁고 거친 화면이 특징.

존재의 흔적(Trace of Being)

신상우 작가는 자신의 작업을 ‘존재의 흔적’이라고 표현.

 인간 내면의 갈망과 본질적 물음들을 형상과 색채로 남기는 ‘존재의 흔적 남기기’ 작업.

 이는 시간성(Time)과 기억(Memory)의 층위를 화면 위에 새기는 과정.

bottom of page